Abstract
매년 많은 신진 미술작가들이 미술시장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작품 활동만으로 는 창작활동을 유지할 수 없었다. 특히 미술 분야는 고급예술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일반인들은 접근이 제한되고 일반 구매자의 입장에서 고가의 미술작품을 구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데다가, 미술품대여사업은 일부 상업 화랑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창작지원과 미술시장을 상생시키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코자 우리나라는 2005년 2월에 설립하여 문화관광부에서 주관하고 국립 현대미술관에서 집행 관리하고 있다. 미술은행이란 정부의 예산으로 미술품을 구입하여 공공건물에 전시함으로써 미술문화의 활성화와 대중화를 추구하고 미술작가를 지원하는 미술품 렌탈 서비스로 영국⋅프랑스⋅캐나다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시행 13년차를 맞이하고 있는 미술은행 제도는 매년 추천제⋅공모제⋅현 장구입제 등을 통해 350~400여의 작품을 구입하고 있다. 미술은행은 미술의 대중화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하지만, 국민의 미술문화 향유권 신장과 작가 지원, 미술시장의 활성화 등을 동시에 쫓다 보니, 시행 초부터 문제의 소지를 갖고 있었다. 운영상으로는 예산의 부족과 홍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인들이 거의 알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이며 작품 선정에 있어서는 신진작가 양성과 미술작가들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예술성 있는 작품을 구입하다 보면 일반의 취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라던가, ‘대중성을 고려하면 예술성을 도외시하여 하향 평준화한다’고 해서, ‘많은 장르를 고루 배려해 고가의 작품을 매입하면 나눠 주기식이 아니냐’, 반대로 ‘소수 고가의 작품 매입하면, 편중 매입이 아니냐’는 논란을 피할 수 없었다. 이렇듯 현행 미술은행에 대한 비판들은 과거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공정성 시비와 미술은행의 목적인 ‘국민문화 향수권 향상, 미술에의 대중화가 실제로 가능한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국내 미술은행 현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국내 및 해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현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Many new artists are entering the art market every year, but they can not keep creative activities.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purchase expensive art works from the viewpoint of general buyers because access is limited and general buyers are very aware that art is a high- end art. In addition, the art loan business is centered on some commercial galleries, There was a certain limit to the mutual benefit. To improve this, Korea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05 and is manag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managed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rt Bank is an art gallery rental service that supports art artists by promoting and popularizing art culture by purchasing artworks on the government’s budget and exhibiting them in public buildings, and has been well received in the UK, France and Canada. The Art Bank system, which is now in its thirteenth year of implementation, purchases 350~400 works each year through recommendation, public offering, and on-site purchase. Although the art bank has a positive evaluation of popularization of arts, it has been a problem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law because it pursues the promotion of the citizens enjoyment of art culture, the support of artist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art market. It is the biggest problem that the public is hardly aware of the lack of budget and publicity due to lack of budget. In the selection of the works, there is a negative evaluation that there is a problem in educating new artists and equity. For example, the Art Bank criticized “that if people buy artistic works, they do not consider the taste of the general public”, or “if it considers the popularity, people tend to downsize artistry and downgrade it”. Also, “when Art Bank bought many high-priced works in consideration of a lot of genres, they criticized it as a purchase type of distribution”. On the contrary, “when Art Bank bought a few high-priced works”, it could not avoid “the controversy”. This criticism of the current art bank faced the fundamental problem of “fairness fict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public interes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 which is the purpose of the art bank.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rt bank in Korea and compare the problems wit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