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대한민국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성별, 나이, 사회적 정체성에 관계없이 문화 예술을 즐기고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평등한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보장 받는다.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학교제도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교문화예술교육과 그 외의 모든 문화예술교육을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진교육학회 충남 지부가 마련한 사진 교육에 금산 주민들이 참여한 방식과 이들의 삶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국사진교육학회의 회원들은 2011년부터 충남 금산군에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하나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수주하여 사진 교육을 실시해왔다. 금산군은 인구 5 만명이 조금 넘는 농촌 지역으로 문화적으로는 소외된 지역으로 분류된다. 금산군에서의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은 사진예술가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일반 지역민들을 위한 사진 교육으로, 목표는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예술 활동을 실천하고, 적극적인 생활 협력으로 인간 의 이해 활동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이웃과의 소통 및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진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의 삶의 변화를 세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고, 1년의 지원사업 종료 후에도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사진 활동을 하고 있는 25명과 인터뷰를 실시한 후 그들이 촬영한 사진을 분석하였다. 이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알려진 것처럼, 본 연구의 대상이었던 농촌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학습자들도 문화예술교육은 자신들의 삶을 변화하게 만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후 그들은 누구보다 지역사회 의 일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시간이 날 때마다 손에 카메라를 들고 혼자 또는 삼삼오오 촬영을 나가기도 하며, 그 무엇보다 지난날 자신들의 삶의 여정을 사진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자신들이 좋아하는 것이 나타나면서 가족애가 더욱 단단해지고,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문화예술교육의 힘일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residents of Geumsan participated in the photography education organized by the Chungnam Branch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Photography Education(KAPE) and how it affected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Korean citizens are guaranteed equal opportunitie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o enjoy cultural arts and cultivate creativity regardless of their sex, age, and social identi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classified into school culture arts education which is carried out in school and social and cultural arts education in all other forms Since 2011, the Chungnam Branch has been conducting photography education as soci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Geumsan-gun, Chungnam. Geumsan gun is a rural area with a population of over 50,000 and is a culturally disadvantaged area. Photography education as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does not nurture photography and photographers. The goal of photography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to practice photo art in their daily lives and to live their lives proactively, to cooperate and to reflect on themselves through human understanding activities, to live a life of communicating with neighbors, and to contribute to the harmony and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effects of the changes on life were largely determined by three aspects: the emotional aspect of photography, humanistic reflec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of photographs to see whether photography education 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ve affected in their liv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