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19세기 후반기에 조선에 들어와 대한제국 황실의 의전을 담당하는 ‘황실전례관’인 마리 앙투아네트 손탁(1838-1922)의 정치 외교적 활동, 특히 대한제국 시기 고종의 밀사활동에 대해 독일 외교문서를 통해 복원하려한다. 본 연구가 독일 국적의 프랑스 태생인 여성 손탁이라는 인물을 선택한 이유는 평범한 외국인으로서 황실에서 근무하며 경험한 대한제국을 통해 근대 정치사에 새로운 시각을 열어 줄 수 있는 인물이라는 데 있다. 그녀는 을미사변이후 아관파천동안 고종의 곁에서 자문역을 하였고, 고종의 환궁과 함께 궁으로 들어와 고종의 최측근이 되었다. 이후 손탁은 황실의 정치적인 업무에 깊이 관여하게 되고, 손탁호텔을 중심으로 정동구락부, 독립협회 등과 궁중의 연결책을 맡기도 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 전후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강압을 목격한 그녀는 항일 투쟁을 위한 밀사가 되었다. 1905년 여름부터 1906년 가을까지 손탁의 유럽 휴가는 개인적인 목적보다는 고종황제의 밀사로 불가피하게 유럽을 방문하는 것이 비공식적이긴 하지만 확실한 이유라고 밝혔다. 유럽 휴가 기간에 손탁에게 주어진 임무는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는 특사 파견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제2차 만국평화회의가 1906년에서 1907년으로 순연되어 손탁의 임무는 드러나지 않았다. 역시 손탁의 휴가 목적인 유산문제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그리고 고종황제 ‘밀사’ 역할이 구체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기록은 독일외교문서에서도 아쉽지만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밀사라는 신분을 위해 비밀스럽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라 본다. 이렇듯 대한제국 정치외교에 긴밀하게 그러나 깊이 관여했던 손탁의 정치적인 밀사활동은 확연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부정할 수는 없는 ‘네 번째 밀사’들 중 한 명이었다 할 수 있다.This study is a reconstruction of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on, especially the role as King Kojong’s secret envoy, from a woman named M. Antoinette Sontag(1838-1922). She came to Korean empire in 1885 and worked as a protocol for the Korean royal house being a Hofzeremoniemeisterin(1896-1909). She worked as a consultant of King Kojong during the Evacuation period to Russia after the Eulmi Incident. After then, Sontag has been deeply involved in the political affairs of the imperial family, and she has l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lace and Jeongdong Club, independence associations.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in 1905, after experiencing Japan’s coersion against Korean Empire, she became an secret emissary of the anti- Japanese struggle. From the summer of 1905 to the fall of 1906, Sontag’s European holiday was unofficial. However there is a certain reason to visit Europe inevitably which was her as King Kojong’s secret envoy instead of a personal purpose. The role given to Sontag as a secret envoy of Korean Empire during European holidays seems to be deeply related to the dispatch of the Hague envoy in 1907. However, since the second World Peace Conference was delayed from 1906 to 1907 the duty of Sontag was not revealed. Also, unfortunately, both the record of how the inheritance issue, which was the purpose of her holiday, was handled and the specific details of the role of King Kojong’s emissary is not found. However, it is surmised that it was conducted secretly for the identity of secret envoy. In conclusion, eventhough the activities as a secret envoy of Sontag, which was closely and deeply involved in the Korean empire’s political diplomacy, were not clearly revealed, it can not be denied that she was the ‘fourth emissaries’.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