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차원 인성교육의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행 동향에 있어 대학기반의 인성교육은 교양교과 단위에서 주로 활성화되어 있긴 하나 이전의 학령기 기반의 인성교육 운영 사례와 비교해 볼 경우 특별히 내용적인 측면에서 상호간의 변별점을 크게 갖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학 차원에서 운영되는 인성교육의 실정은 인성교육이 학문적으로 고유하게 갖는 위상과 정체성에 기반하여 그 배경 구조와 기초 내용을 구성하지 못하는 한계가 수반되며, 인성교육의 지식과 기술 부분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인성 덕목을 균형적으로 학습하지 못하는 제한점 역시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정은 대학 차원의 인성교육이 체계화된 교수ㆍ학습 방법이나 평가, 인성 덕목의 지식과 기술을 통합화한 주제 중심의 실천 사례를 폭 넓게 다루는 데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상의 제한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대학 차원의 인성교육이 강화될 수 있도록 내용체계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대안 요소를 제시하였다. 대안 요소의 예로는 1) 교육학적 배경 구조 기반의 인성교육 이론ㆍ실제화, 2) 다중 차원의 인성교육 덕목 정립화, 3) 주제 통합 중심의 인성교육 내용 다양화, 4) 교수ㆍ학습 패키지 기반 인성교육 내용 맥락 다양화, 5) 다중 공모작 기반의 인성교육 내용 맥락 다양화가 구성되었다. 이런 다섯 가지의 내용체계 요소를 통합화한 관점에서 대학이 인성교육 교과 수업(예: 교양 등)을 실제로 운영할 수 있는 예시적 모형을 제안하였고, 아울러 다섯 가지의 내용체계 요소들이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수반되어야 할 구성조건을 중심으로 역시 논의 및 제언하였다.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aracter education content systems at university level. Currently, university-based character education content systems are active mainly in liberal arts courses. When compared to character educatio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it does not show much differentiation in terms of content. The character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university, which is based on its unique academic status and identity, fails to construct its infrastructure and basics. Its further limitation involves failure to perform balanced learning in the virtues of personality that are important in terms of knowledge and skill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such reality causes difficulty for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in broadly handling the cases of theme-centered practices that incorporate systematized teaching-learning method, evaluation, and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alternative elements in terms of content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university-based character education. The alternative elements included a) theory and practice in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b) establishing virtues of multi-dimensional character education, c) diversifying character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me integration, d) diversifying the content and context of character education with a focus on a teaching-learning package, and e) diversifying the content and context of character education with a focus on proposals selected through public competition. With a view to integrating the five elements of content above, the study suggested an exemplary model in which universities can actually operate the courses in character education (such as liberal arts course). Moreover, it focused i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constituents that are required for the five elements of content to be implemented.`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