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 건강, 배려의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교육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학생 스스로 자신의 식생활역량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을 검사할 수 있는 진단도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자문, 예비조사를 거쳐 유아・초등학교 저학년생, 초등학교 고학년생 그리고 청소년 대상의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고, 현장 적용을 통해 대상별 식생활역량 실태를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 진단도구’ 3종을 개발하였다. 이 진단도구는 2018년도에 개발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체계’에 근거하여 환경, 건강, 배려 영역별로 진단항목을 설정하였으며, 유아・초등 저학년용 10개 문항, 초등 고학년용 15개 문항, 청소년용 2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개발된 진단도구의 현장 적용 결과에 따라 유형별 분류기준을 개발하였다. 영역별 점수를 기준으로, 환경, 건강, 배려의 영역별로 75% 이상 점수를 획득하였을 경우 각각 ‘환경친화형’, ‘건강한 식생활형’, ‘배려형’으로 분류하였다. 총점 기준으로는 ‘지속가능한 식생활 우수 실천형’,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형’, ‘식생활 개선형’의 3단계로 분류하였다. 셋째, 개발된 진단도구를 서울 지역 초, 중, 고등학생 1,255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청소년 집단이 초등학생 집단보다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속가능한 식생활 우수 실천형’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 진단도구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플랫폼인 ‘식생활교실’에 탑재되어 초등학생과 청소년들이 온라인상에서 스스로 지속가능한 식생활역량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Along with the paradigm shift toward sustainable food education focusing on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to diagnose their food competency and practice sustainable diet. However, there are no evaluation tools developed so far. Therefore, three kinds of Sustainable Food Competency Evaluation Tool (SFCET) were developed for lower elementary students, upper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for adolescents in this study by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dvices from experts in food education, and preliminary test for these student group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kinds of SFCE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ustainable food education content system suggested by Kim et al.(2018). SFCETs for lower elementary students, upper elementary students and adolescents consist of 10, 15, 20 questions, respectively, including the areas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Secon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group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lot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s. The evaluation criteria by area were classified as ‘eco-friendly type’, ‘healthy diet type’ and ‘considerate type’, respectively, if the scores of 75% or more were achieved in each area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The total scor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excellent practice of sustainable diet type’, ‘sustainable diet practice type’ and ‘dietary improvement type’. Third, when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s were applied to 1,25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adolescent group showed a lower sustainable food competency than the elementary student groups, and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 ratio of ‘excellent practice of sustainable diet type’. The SFCET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uploaded on the sustainable food education platform ‘Food Classroom’ and could be utilize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dolescents evaluate their own sustainable food competency and practice sustainable diets in their live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