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근육성 동통 및 관절성 동통을 가진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RDC/TMD) axis II 지수 및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여 동통과 관련된 장애와 사회심리학적 상태 그리고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를 내원한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되어진 25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근육성 동통군, 관절성 동통군, 근육성 동통과 관절성 동통을 모두 보이는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한 뒤,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 우울 지수, 신체화 지수,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 등을 조사하였으며, 동통의 기간,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 등 임상적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17.5%가 근육성 동통군, 31.0%에서 관절성 동통군, 51.6%가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되었다. 성별 분포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세 그룹간의 연령 및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측두하악장애 각 통증군의 사회심리학적 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1).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혼합형 동통군에서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우울 지수 및 신체화 지수는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근육성 동통군과 혼합형 동통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3.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은 각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최대 개구량은 근육성 동통군 환자보다 관절성 동통군 환자에서 작게 나타났다(p<0.05). 4. 관절성 동통군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적은 수에서 만성 동통의 경향을 보였으며 (p<0.01), 혼합형 동통군의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5.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효과는 신체화 지수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TEX>${\beta}$</TEX>=-0.251, p<0.0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psychological profil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between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subgroup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based on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Two hundred and fifty two patients diagnosed as TM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RDC/TMD axis I diagnostic guidelines; myogenous pain group, arthrogenous pain group, and mixed pain (both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group. RDC/TMD histo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ach patient and depression, somatization, jaw disability, pain intensity, disability days, and graded chronic pain scale were analyzed. Bruxism, clenching, insomnia, headache, and unilateral chewing were assessed in a standardized TMD dysfunction questionnaire and the duration of onset, chronicity of pain, treatment perio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symptoms also analyzed. Myogenous pain group had higher depression (p=0.002), and somatization scales (p<0.001)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Mixed pain group showed higher pain intensity (p=0.008), disability days (p<0.001), graded chronic pain scale (p=0.005), somatization (p<0.001), and depression scores (p=0.002)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Jaw dis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p=0.058). Arthrogenous pain group reported more limitation of mouth opening than myogenous pain group (p=0.007). Duration of onset showed that the arthrogenous pain group had lowest prevalence of chronicity among three groups (p=0.002). Mixed pain group patients showed lowest symptom improvements among three groups (p=0.007).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score (<TEX>${\beta}$</TEX>=-0.251, p=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