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焦點은 漢文 교과서 소재 ‘成語’ 영역 비평이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고등학교 漢文 교과서 所載 ‘성어’ 영역에 대한 비평의 준거를 마련하고, 성어 영역 단원 구성 방식 및 속뜻알기 교수・학습 방법에 초점을 두고 비평하도록 한다. 교과서 비평의 준거로 첫째, 단원 구성 방식을 설정했다. 둘째, 절차와 기법을 강조한 성어 교수・학습 방법 모형을 구안했다. 두 개의 비평 준거는 모두 ‘성어의 속뜻알기’에 焦點이 있다. 중학교, 고등학교 漢文 교과서 25種을 비평 준거에 따라 비평했다. 성어 영역 단원 구성 방식은 성어라는 文種에 주제와 학습 목표를 결합했다. 성어 영역 대단원 내 소단원 구성 방식은 성어의 주제나 소재별로 배열했다. 원리와 단계를 중시한 단원 구성은 찾을 수 없다. 한편, 많은 교과서가 성어의 겉뜻과 속뜻을 함께 제시했다. 학습자의 인지 작동 유발 전략과 학습 활동 공간이 없다. 由來나 來歷을 제시했지만, 속뜻을 알 수 있는 학습 단계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고사성어 속뜻알기 교수・학습 방법으로 ‘추측 하기’, ‘비유 찾기’ 활동이 주목된다. 겉뜻에서 속뜻에 이르는 과정의 하나로 제안했는데, 학습자에게는 학습 節次의 하나로, 교사에게는 교수 案內의 하나로 소중하다. 소단원 사이의 원리와 단계를 중시한 단원 구성 방식을 교과서에 실현하는 과제가 요구된다. 속뜻알기에 이르는 절차를 따르고 각 절차에 적합한 기법을 동원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 구안이 후속 과제이다.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criticism of the “phrase” area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irst, after establishing the grounds for criticizing the ‘phrase’ area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nd curriculum, we focused on ‘how to construct a phrase area unit’ and ‘how to understand implications.’ As a criterion of criticism of textbooks, first, we have set up a unit structure. Second, I develope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a phrase emphasizing procedures and techniques. Both criticisms focus on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a phrase’. 25 classical Chines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riticism. The unit construction method combines the theme with the learning objective in the type of phrase. The structure of the subsection in the chapter is arranged by the theme or material of the phrase. We can not find a unit structure that emphasizes principles and steps. Many textbooks, on the other hand,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the phrase. There is no learner s cognitive activation activity and learning activity space. Suggesting origin of the phrase, it lost its function as a learning stage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As knowing implied meanings of phrase originated in an ancient event, the ‘guessing’ and ‘finding analogy’ activities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 proposed this as a process from the direct meaning to the implied meaning, which is valuable as one of the learning process for learners and one of teaching guidance for teachers. The method of unit construction that emphasizes the principles and steps between the sub-units must be realized in the textbooks. A follow-up task is a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plan that follows the procedure to understand the implied meaning and mobilize the appropriate technique for each procedur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