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中古漢語 山攝韻의 <韓·中·日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하여, 韓·日 漢字音의 수용양상 및 韓·中日 漢字音의 대응체계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근거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寒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an형, -e형, -a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1等 桓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an형, -o형, -uo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oan형, -al형, -o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ati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2. 開口2等 刪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an형, -a형, -ia형, -ian형 順으로,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atu형, -ati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2等 刪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an형, -ua형, -e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oan형, -oal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wan형, -watu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3. 開口2等 山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an형, -a형, -ia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an형, -a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n형, -en형, -atu형, -o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2等 山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ua형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oan형, -oal형, -oai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atu형, -an형, -en형으로 반영되었다. 4. 開口3等 元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u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al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on형, -etu형, -a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3等 元韻은 現代中國漢字音에서 -yuan(üan)형, -an형, -uan형, -a형, -ue(ü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uən형, -ən형, -an형, -əl형/-al형, -u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an형, -atu형, -etu형, -o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5. 開口3等 仙韻乙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ən형, -jəl형/-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開口3等 仙韻甲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an형, -ie형, -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jən형, -əl형, -j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6. 合口3等 仙韻乙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yuan(ü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uən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an형, -on형으로 반영되었다. 合口3等 仙韻甲類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an형, -ue(üe)형, -i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ən형, -jən형, -jəl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7. 開口4等 先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an형, -ie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ən형, -əl형 順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合口4等 先韻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üe)형, -uan형, -ian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現代 韓國漢字音은 -jən형, -jəl형으로,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en형, -etu형으로 반영되었다.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