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ith the spread of Big data,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Unstructured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to extract valuable information from vast amounts of academic data. Most passive analysis of large texts by humans is time consuming and laborious and difficult, so a technique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them in order to supplement them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nd visualized by using Unstructured Data such as the main words, thesis title, and abstract of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ublished from 2010 to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requently used as a result of visualization of the key words using wordcloud. Job satisfaction, job enthusiasm,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labor showed the order. Second, the title of the paper and the abstract were automatically classified into 10 topics based on the LDA probability. Topic 8(organization/commitment/perception) was the highest, and Topic 5(behavior/management/boss) was the lowes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author and the correspondent author appeared as six large groups and several small groups. We were able to identify influential authors within the group.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lated researchers can get access to another research by deriving information from a vast amount of academic data more quickly and easily.

Highlights

  • I-O 심리학 연구자들이 변화를 인식하고 학 술지 논문과 같은 인적자원의 보고에서 자신 의 의견을 피력하거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 회지 게재 논문의 실태나 현상을 파악하는 동 향분석이 필요하다. 유태용과 탁진국(1998)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에서 학회지를 발간부터 시작하여 이후 10년 동안 게재된 논 문을 저자특성, 연구주제, 연구장면, 연구방법, 연구 참가자 유형, 통계분석 종류 및 사용빈 도 등을 분석하였고, 연구자들이 직접 평정 절차를 통해 일치되는 정보를 추출하였다. 정 재삼, 강민진, 이혜진 및 조지현(2014)은 ‘기업 교육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산업 및 조직’의 3개 학회지를 분석하였으 나 HRD이슈와 동향만을 탐색하였다. 대부분 연구동향 분석논문에서 연구자가 각자 인지적 능력을 사용하여 논문을 연구의 목적에 맞추 어서 게재 논문을 분석하였고,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이 합의하는 방식으 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 작 업생활의 질은 직원들이 일을 함에 있어 큰 의미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어떻게 해야 하는가

  • 6개의 큰 그룹과 다수의 소그룹으로 이뤄져 있으며, 큰 그룹의 교신저자로서 ‘탁진국, 유태용, 장재윤, 신강현, 서용원, 손영우’ 등이 그룹의 유력한 조력자로서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 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I-O 심리학 연구자들이 변화를 인식하고 학 술지 논문과 같은 인적자원의 보고에서 자신 의 의견을 피력하거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 회지 게재 논문의 실태나 현상을 파악하는 동 향분석이 필요하다. 유태용과 탁진국(1998)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에서 학회지를 발간부터 시작하여 이후 10년 동안 게재된 논 문을 저자특성, 연구주제, 연구장면, 연구방법, 연구 참가자 유형, 통계분석 종류 및 사용빈 도 등을 분석하였고, 연구자들이 직접 평정 절차를 통해 일치되는 정보를 추출하였다. 정 재삼, 강민진, 이혜진 및 조지현(2014)은 ‘기업 교육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산업 및 조직’의 3개 학회지를 분석하였으 나 HRD이슈와 동향만을 탐색하였다. 대부분 연구동향 분석논문에서 연구자가 각자 인지적 능력을 사용하여 논문을 연구의 목적에 맞추 어서 게재 논문을 분석하였고,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이 합의하는 방식으 로 분류하도록 하고 있다.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소요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활용 이 필요하다. 분석방법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워 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누구나 직관적으로 파 악할 수 있도록 핵심단어를 시각화하였으며, 통계적인 추론 기반의 잠재 디리클레 할당 (LDA)을 사용하여 연구의 주제를 자동으로 분 류하여 I-O 심리학 분야의 주제로 설명하였으 며, 주저자와 교신저자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몇 개의 집단으로 구성되며 해당 집단의 유력 자는 누구인지를 통계패키지 R로 분석하였다. 그림 11은 두 번째 주제로 ‘직무, 정서, 노 동, 열의’를 중심으로 ‘탈진, 종업원, 유형’에 관한 단어로 분류되었다.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