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집합인 문화 간의 충돌 상황에서 관용의 효용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요소들의 차이가 문화 간의 충돌의 전제 조건이 된다는 일반적인 상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이 충돌의 요소들을 오히려 역전하여 평화와 공존의 전제 조건으로 간주하는 관용의 효용을 몇 가지 과정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 과정은 크게 두 가지 단계를 거쳤다. 첫째, 관용의 정의를 통해 관용이 문화충돌의 조건이라 여겨지는 상이한 문화적 요소들이 어떻게 문화 간의 상호 관용의 전제 조건이 되는가를 보이고자 시도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논자 문화 간의 충돌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의 조건이 되는 문화 간의 차이라는 현실에 관용이 얼마나 효율적인 도구가 되는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둘째로, 상이한 요소들의 집합체로서의 문화가 어떠한 맥락에서 상호 관용의 관계로 진입할 수 있는가를 두 가지 관용의 모델들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이 두 가지 관용의 모델들은 종교적 관용의 모델과 정치적 관용의 모델이다. 종교적, 정치적 관용의 모델을 제시한 이유는 문화충돌이라는 현실이 충돌하는 문화들의 요소에 따라 그 성격을 달리하며, 그로 인해 다양한 해법을 요구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즉, 문화충돌이라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관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관용의 다양한 모델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 are various components that comprise culture. Religious beliefs, historical traits of political struggles against enemies, political ideologies, and moral rules are some components. Specific cultures produce unique normative rules for those who live in it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among those components. Historical changes in religious ways of life, changes in geography, and moral doctrines that emerge or are imported from other nations are idiosyncratic to a given culture. In this sense, it is quite obvious that the presence of plural cultures illustrates the presence of plural normative rules for specific peoples. Furthermore, the presence of plural normative rules instructing how to live, the correct way to worship a god or gods, and how to determine good and bad-among others-foresees conflicts between various sets of normative rules. The presence of differences between rules seems to demand the resolution of differences. Thus, as the representative of normative rules, culture implicitly includes the danger of destructive confrontation between cultures.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suggest the practice of toleration as an effective tool for mitigating possible conflict between cultures. In order to defend that effectiveness, first, I introduce the concept of toleration, proving that the practice of toleration treats the presence of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oleration, not as the thing that needs to be resolved. Second, I attempt to suggest several distinguished models for toleration with the hope of enhancing and expanding the utility of toleration in various situatio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