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성공적인 공공미술은 공공공간에서의 상호교류를 증진하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장소만들기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술가들은 작품을 통해 사람들이 공간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특성을 실제로 경험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장소만들기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대도시 공공공간의장소만들기 관점에서 성공 여부를 평가하고 향후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은 미술관> 프로젝트로설치된 공공미술 작품 <윤슬: 서울을 비추는 만리동>을 대상으로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에 나타난 관련어를 텍스트마이닝으로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윤슬>이 설치된 만리동광장은 시민사회의 사교성 증진, 높은 접근성과 연결성, 장소의 적극적인 활용과 활동이 이루어지는 등 성공적인 장소만들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윤슬>은 만리동광장의 주요 특징으로서 장소성 형성과 장소만들기에 기여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은 미비하며, 작품의 건축적, 환경적 요소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향후 공공미술프로젝트는 작품의 기획 단계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설치와 전시 현장에서도 장소만들기의 속성을 저해하지 않는관리와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혔다.Public arts positively affect placemaking by contributing to interaction among people and to community building in public spaces. Artists can also encourage placemaking by discovering possibilities of creative innovation in each place and making opportunities for people to experience them. This study evaluated the public art project in Seoul from the viewpoint of placemaking in public spaces. Keywords appearing on the main portal sites related to <Yoonseul: Manridong reflects Seoul>, the public artwork that had proceeded by the Seoul city government’s schem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Manridong plaza where the artwork is located shows citizen sociability, high access & linkages, and active uses & activities, which are the place’s key attributes suggested by PPS. As a vital feature of the plaza, the artwork contributes to the placeness and placemaking, but it turns out the influence is not significant. Moreover, the plaza does not fully utilize the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artwork. On that ba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ublic art project should consider not to disturb the attributes of placemaking both at the stage of planning the artwork and at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progr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