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과 한국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논문을 읽는 데에 사용하는 읽기 전략을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 도구를 통해 각 집단이 논문 읽기에 사용하는 읽기 전략 양상에 대해 조사하고,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읽기 전략 사용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두 집단의 논문 읽기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한국인 대학원생과 중국인 대학원생 모두 하향식 전략과 정의 전략을 자주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보였지만 하향식 전략, 보조 전략, 사회 전략의 사용 양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범주별, 문항별 결과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인 대학원생의 경우 언어적ㆍ학문적 배경지식의 부족으로 여전히 각 단어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이며 읽는 상향식 전략에 의존하는 정도가 한국인 대학원생에 비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의 능동적 읽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초인지 전략의 사용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범주별 세부 문항에서 다루는 전략의 유형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 두드러진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대학원생들이 전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읽기 전략이나 대체로 잘 사용하지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전략 사용 양상이 부족한 항목이 무엇인지를 가려 이에 대한 전략 사용에 대한 강조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문 수행 상황에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In this study,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reported use of reading strategies of native Korean and Chinese Korean learners when reading academic articles. Participants were 60 graduate students (40 Chinese KSL students, 20 native-Korean-speaking students), who completed a survey of reading strategies aimed at discerning the strategies readers report using when reading academic materials.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Korean and KFL graduate students use top-down strategies and affective strategies most. However, a closer look at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revealed that Chinese graduate students still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each word due to the lack of linguistic and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In addition, they are highly dependent on the bottom-up strategy to read academic articles. The frequency in the use of the metacognitive strateg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active reading, is also found to be low. Based on these results, we aim to understand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by Chinese Korean learners who are enrolled in Korean graduate schools and to help them to read effectivel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