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필자는 일본 고전 문학, 특히 헤이안시대의 문학을 전공하면서, 일본의 언어와 문화에 나타나는 ‘주체’와 ‘객체’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문제는 ‘간주관성’의 문제와도 관련을 갖는다. 이와 관련해서는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와 같은 문헌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주객의 문제는 몇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몸’과 ‘마음’의 관점에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코킨슈(古今集)』와 『타카무라모노가타리(篁物語)』의 이야기 에서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이라는 말이 빈번하게 나오는 장면을 분석하였다. 『古今集』을 통해서는 몸이 갖는 중층성과 정신성의 문제를 다루었다. 그리고 『篁物語』에서는 헤이안시대의 가나문학에서는 매우 드문 에피소드인 여동생의 죽음 직전부터 망령으로 등장하는 장면에 초점을 맞추어 ‘몸’과 ‘마음’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영혼’과 관련하여 ‘몸’이 갖는 융통성과 유연성, 나아가 비이원성의 특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I am interested in the subjects of subject and object which appear in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while majoring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especially the literature of the Heian era. This problem is also related to the problem of intersubjectivity . In this regard, it can be confirmed in literature such as 源氏物語. In this study, I will try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guest in terms of body and mind . To this end, I analyzed the scene in which the words body , mind , and soul frequently appear in the stories of 古今集 and 篁物語 Through 古今集 I have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middle class and mentality of the body. In 篁物語, I focused on the issue of body and mind , 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a soul from the very short episode of sister s death in the Heian period. Through this, we could confirm the flexi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body in relation to soul ,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non-dual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