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대구 소재 K대학교 <대학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성찰 및 자기 배려의마음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표현되는지를 다루고 있다. 이는 푸코(Michel Foucault)의 자기 배려(epimeleia heautou) 이론, 즉 자기 이해 및 자기 성찰 과정을 거쳐 자기 성장 및 자기 배려로 발전하게 된다는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로는 2020년 2월에 출간되어 2021년 1학기까지 활용된 교재 대학 글쓰기 에서 새롭게추가된 부분, ‘제3장 자기 성찰과 글쓰기’ 과정에서 학생들이 기술한 내러티브 텍스트이다. 이는 복잡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에게 글쓰기의 이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자기를 돌아보고 자기를 사랑하며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더 시급한 문제임을 인식하면서 새롭게 추가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해당 주제를 가장 잘 나타낸 4명의 내러티브 텍스트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고, 이외에도 대학생들이 강의 수강 이후 참여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성찰 글쓰기가 푸코의 이론인 ‘자기 이해와 성찰의 과정을 거쳐서 자기 배려’로 발전되는 것을 글쓰기의 사례로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하여실제적인 사례를 들어 연구를 진행하고 검증했다는 점과 대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내적 마음의 변화를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