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 구국가요에 대한 것으로 역사적 배경과 사건을 기조로 하여 곡의 구조 및 선율, 가사와 가사에 내포된 의미와 상징을 살펴 구국가요에 대한 음악적인 면을 보다 면밀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것에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첫 번째는 특정시기, 특정한 계기로 발생된 역사적 배경과 사건에 주목하여 고증 연구를 한다. 두 번째는 항일시기에서 발생된 구국가요의 본질에 중점을 두고 핵심적인 사건에 주목하여 이를 3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를 대표하는 곡을 선정해 분석 연구를 한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중국 동북지역의 구국가요의 창작자가 대부분이 중국 군인이었으나 조선인과 조선족 출신의 작곡자도 포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기별 대표곡으로는 제 1시기, 1931~1937년 ‘9 18 사변’ 이후로 대표곡은 장한위의 <국치기념가>와 차오치하이의 <탄귀둔>와 정율성의<연안송>이며, 제 2시기, 1937~1942년 ‘7.7사변’ 이후로 대표곡은 양징위의 <사계유격가>와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군가>와 정율성의<중국인민해방군군가>이다. 제3시기, 1942~1945년 ‘항일전쟁 승리기간’의 대표곡으로 자오샹즈의 <쟁취최후의 일조>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곡들의 구조 및 선율, 가사와 가사에 내포된 의미와 상징을 분석 연구하여 그 발전과정과 특징을 살펴구국가요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논증하고자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