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3인의 시각예술분야의 작가를 대상으로 예술가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은 사회적으로 직업을 밝혀야 할 때 예술가 대신 작가, ‘강사’라고 하거나 적당히 둘러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예술가가 사회적으로 직업으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이며, 대학에서 취업도 잡히지 않는‘무직’으로 취급받기 때문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각기 예술노동에 대해 인식이 달랐다. 예술노동이 노동처럼 보상받아야 한다는 생각은 C가 가장 강했고 현실적으로 자신의 독자성과 시장수요를 맞춰가며 작품 판매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전업작가인 A는 작품을 적게 팔아도 그 액수에 맞게 간소하게 살고 있다. B는 예술노동을 사회적으로 ‘지원’받는 방식을 비판하고 예술가가 예술의 가치로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존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예술가들이 예술의 공공성을 실현하고자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In this study, I examined the perception of artist occupational identity and art labor for threewriters in the field of visual arts. As results of the study, they were found to be “creator” or “instructor” instead of identifyingthemselves as “artist” when they had to reveal their jobs socially. The reason is that artists arenot socially accepted as jobs, and they are treated as “unemployed” who do not get a job incollege. In addition, each participant had a different perception of art labor. The idea that artlabor should be compensated like labor was the strongest in C, and in reality, C is activelystriving to sell works by matching her own uniqueness and market demands. Full-time creator Alives simply according to the amount even if she sells a small number of works. B criticizes theway art labor is socially “supported” and believes that artists should be “respectful” by contributingto society as the value of art. B saw that to this end, artists should try to realize the publicity ofar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