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담화에서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이야기 구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야기는 일상적이고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한 유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아주 친숙한 장르이다. 이러한 이야기가 초급, 중급,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의 자료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 기준을 ‘장면 설정, 사건, 내적 반응, 목표, 시도, 결과, 결말, 논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어 학습자를 수준별로, 그리고 한국인 대학생과 집단별로 비교한 결과, 경험 이야기와 감상 이야기 자료 모두, ‘논평과 사건’ 위주로 기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초급 수준의 학습자는 중급,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와 달리 서술자의 의도와 전략에 따라 세부 정보를 기술하지 못하고, 중심 사건만 기술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면, 사건, 내적 반응, 목표’의 기술량은 줄어드는 반면 ‘논평’은 늘어나면서 한국인 대학생의 이야기 구조에 근접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자료로, 한국어 능력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Korean proficiency. Narratives are a type of everyday basic communication that is familiar to beginner Korean learners. In this study, the structure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experience and movie report narratives were examined using eight analysis criteria: setting, events, internal responses, goals, attempts, outcomes, endings, and comments. By comparing the level of Korean learners with that of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and movie report narratives were found to be mainly described as “comments and events.” However, although beginner level learners coul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entral event, they could not describe the intention and strategy of the narrator in detail. Additionally, as the Korean language level increased, ”settings, events, internal responses, and goals” decreased, and they were found to approach the story structur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Korean teaching materials using narrative structures, and as a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tool.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