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제인 진 카이젠(Jane Jin Kaisen)’의 영화 〈이별의 공동체(2019)〉는 바리의 신화를 제주를 비롯한 한반도의 분단된 각 영토와 각기 다른 시간대의 현대사와 맞닿게 하며 디아스포라, 여성과 소수자의 기억을 미학적, 윤리적 태도로 제시한다. 이 글은 〈이별의 공동체〉를 오이코스인 조에의 계보학적 탐구로 이해한다. 서사의 추동은 버려짐의 갱신된 의미를 통과하는, 이산의 이미지와 제주 4. 3 항쟁의 생존자이자 심방 고순안의 제례의 반복적 이미지로 엮인다. 영화에서 디아스포라는 순수한 기원의 동질한 공동체를 문제시 하면서, ‘우리’의 기억으로 수렴할 수 없는 이질적 시간성을 드러낸다. 이별의 공동체는 바리의 제례를 통해 파편화된 기억 이미지들을 연결하고 사건을 일으키는 아카이브를 제시한다. 이 글은 바르부르크의 잔존 개념을 해석한 디디-위베르만의 논의와 들뢰즈의 정동 개념으로 〈이별의 공동체〉에서 바리를 조에의 역량으로 이질적 시간성들을 산포하는 정념이자 정동적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별의 공동체〉는 트라우마적 사건의 말 잃음이나 대안적 역사 서술을 넘어 각기 다른 시간성들의 계보를 그리며 시대착오적 동시대의 서사를 실행하는 기억의 공동체인 조에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