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공정을 권리와 기회의 공평한 분배와 그 절차의 문제로 보는 일반적 관점은 롤즈(John Rawls)의 정의론에 뿌리를 둔다.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fairness)’는 합리적인 사회계약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분배 절차’를 정의의 조건으로 제안한다. 그의 ‘분배적 정의’와 ‘절차적 공정성’은 정의의 구체적이고 사회적인 실현 방안을 모색하게 한다는 점에서 강한 설득력을 갖는다. 그러나 ‘공정성’은 단순히 권리와 기회의 분배 문제로, 또 단순히 절차적 문제로 환원할 수 없는 가치론적 물음을 야기한다. ‘공정한 분배’란 무엇인가? 분배의 공정성을 판단하게 하는 척도는 무엇인가? 어디에서, 누구를 위해 말해지는 공정인가? 어떠한 공정인가? 이 글은 먼저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리쾨르(Paul Ricoeur)와 영(Iris Marion Young)의 비판을 검토하면서, 정의에 대한 숙고는 ‘분배 절차의 공정성’을 뛰어넘는 관계론적 성찰을 요청한다는 사실을 살피고자 한다. 나아가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가 곧 정의’라는 명제의 의미를 살피면서, 정의는 분배 절차의 공정성을 계산하는 일이 아니라 타자의 고유한 상황과 개별적인 고통에 주의를 기울이는 민감성을 통해서 추구되어야 하는 지향이라는 점을 보일 것이다.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