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상황에서 약속 위반이 발생하여 가해자가 사과를 할 때 피해자의 용서에 어떤 구성 요소들이 용서의 3가지 차원(인지적/정서적/행동적 용소)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사과 구성 요소가 증가할 때 용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사과 구성 요소는 ‘수치심과 죄책감 표현’, ‘배상 제공’, ‘개선 행위 약속’이었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 요소가 1개일 때보다 2개와 3개일 때 용서 평균이 높았다. 둘째, 세 구성 요소 중 ‘수치심과 죄책감 표현’이 나머지 요소에 비해 높은 용서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배상 제공’과 ‘개선 행위 약속’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