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황금(黃芩, S. baicalensis)은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서 예로부터 민간처방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한방에서는 뿌리 말린 것을 이질, 발열 및 황달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황금 추출물은 항염증, 항당뇨, 항균,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 항고혈압,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신세포암에서의 항암효능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신세포암 Caki-1 세포에서 황금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of S. baicalensis, EESB)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SB 처리에 의한 Caki-1 세포의 증식억제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이는 DR4 Fas ligand 및 Bax 단백질의 발현 증가와 Bid, XIAP 및 cIAP-1의 발현 억제와 관련이 있었다. EESB는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caspase-3의 기질단백질인 PARP, <TEX>${\beta}$</TEX>-catenin 및 <TEX>$PLC{\gamma}$</TEX>-1 단백질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EESB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었던 apoptosis가 pan-caspases inhibitor인 z-VED-fmk를 이용하여 caspases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현저하게 감소되어, EESB에 의한 apoptosis 과정에 caspase의 활성 증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향후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Scutellaria baicalensis, belonging to the family Labiatae,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China, Mongolia, and eastern Siberia. I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such as dysentery, pyrexia, jaundice, and carbuncles. In addition, S. baicalensis is reported to possess various benefici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tiviral, antihypertension,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ts anticancer activity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apopto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S. baicalensis (EESB) on human renal cell carcinoma Caki-1 cell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EESB was associated with apoptosis induct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up-regulation of death receptor 4, the Fas ligand, and Bax and the down-regulation of Bid, XIAP, and cIAP-1 proteins. EESB treatment also 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8, and -9 and degradation of caspase-3 substrate proteins, such as poly (ADP-ribose) polymerase, <TEX>${\beta}$</TEX>-catenin, and phospholipase C-<TEX>${\gamma}1$</TEX>. However, pretreatment of a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EESB-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ESB may be a potential chemotherapeutic agent.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active compounds that conf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S. baicalensi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