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증의 전 세계적인 확산에 따라 국제항공 관광수요 측면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아시아지역내공항의 항공여객 운송 네트워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쇼셜네트워크분석(SNA)을 통한 아시아 공항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아시아지역 공항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노드, 링크, 밀도, 군집화계수)는 코로나-19의 본격적인 확산시기인2020년 3월부터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공네트워크 중심성은 모두 예외없이 크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러한중심성 지표의 급락 상황에서도 각 공항별로 네트워크의 상대적 경쟁력은 달리 나타났다.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중국지역 공항의 경우에는 모든 중심성 지표와 순위의 하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대만 타오위안공항(TPE), 일본 나리타공항(NRT) 및 인천공항(ICN)이 속한 동북아시아내 공항들은 네트워크 중심성의 순위는 오르거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위기를 맞고 있는 우리나라 국제항공 네트워크의 복원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중-일간 역내 협조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히 필요하다. 초기 협력단계로 3국간 공항 방역 인증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상호 검증하여 여객 수요회복기반을 조성하고 3국간 여행제한 완화 조치를 통해 중단된 노선의 재개를 촉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위기를 기회요인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환승노선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보다 포괄적인 다자간 항공협정을체결하여 국제 항공운항 재개를 위한 운수권 확보를 지원하고, 공항당국은 터미널내 별도의 환승구역을 마련하고 방역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 환승객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 개선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 지역내 공항의 네트워크 경쟁력의 변화추이를 분석함으로써 항공네트워크 연구범위를확장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제선을 기준으로 보면 거의 모든 항공노선이 막혀 있는 상황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중국을비롯한 아시아 항공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전 세계 항공수요 회복 정책을 마련하는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공항(노드)과 항공노선(링크)에 인구, 경제성장률, 운항 거리, 운송량 등 사회경제적 지표와 속성을 포함하여 연구한다면 항공산업의 회복을 위한 각국의 항공정책 협력에 유용한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udy looked at the network center of Asian airpor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confirm changes in the air passenger transport network at airports in Asia, which are hit hardest in terms of international air tourism demand following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infections, the worst-ever health crisis in histor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nents of the entire Asian airport network (nodes, links, density, and clustering factors) have fallen significantly since March 2020, the full-fledged proliferation period of COVID-19, with all aviation network centrality decreasing without exception. However,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of the network at each airport was different even in the face of such a plunge in the centrality index. In the case of China and Hong Kong airports, the decline in all centrality indicators and rankings was notable, while Taiwan’s Taoyuan Airport (TPE), Japan’s Narita Airport (NRT)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CN) saw their ranking in network centrality rise or maintain. In order to restore South Korea international air network, which is facing a crisis due to the spread of Corona-19, it is urgently needed to establish a region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initial stage of cooperation, airport quarantine certification programs among the three countries should be prepared and mutually verified to create a foundation for recovering passenger demand and promote the resumption of the suspended routes through measures to ease travel restriction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t is also time for policy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ransit routes to make the Corona-19 crisis an opportunity factor.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work to secure transportation rights for the resumption of international air operations by signing a more comprehensive multilateral aviation agreement, and the airport authority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facilities so that transit passengers can use them with confidence by setting up separate transit zones in the terminals and providing quarantine servic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expand the scope of aviation network research by analyzing the changes in network competitiveness of airports in Asia to which Korea belongs.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analyze Asian aviation networks, including China, which are hit hardest at a time when almost all air routes are blocked by international flights, in order to come up with policies to restore global aviation demand in the future. Future studies involving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attributes, such as population, economic growth, travel distance and transportation volume, in airports (nodes) and air routes (links) could be useful for international aviation policy cooperation in recovering the aviation industry.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