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수문자료는 지상관측을 통해 얻어진다. 그러나 어떤 지역은 접근이 어렵거나 장기적인 관측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지상관측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 2002년 지구 중력장을 측정하는 GRACE(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인공위성 자료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CE Level-2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평활화 반경별(0 km, 300 km, 500 km)로 한반도의 수자원변화량(GRACE-based TWSC)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상 수문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자원 변화량(land-based TWSC)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Land-based TWSC는 WAMIS의 강우량, 증발 산량 및 GLDAS의 유출량 자료를 이용해 계산하였다. GRACE-based TWSC와 land-based TWSC의 RMSE 검정 결과, 공간평활화 반경 500 km의 위성자료가 한반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월별 평균 TWSC는 0.986 cm/month로 나타났고, 이러한 큰 변화폭 때문에 안정적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처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Most hydrologic data are obtained by ground observations. New observation methods are needed for some region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ccessibility and durability of long-term observation. In 2002, NASA launched twin satellites named GRACE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gravitational field of the earth. Using the GRACE monthly gravity level-2 data, we calculated terrestrial water storage change (TWSC) of the Korean peninsula in various spatial smoothing radii (0 km, 300 km, 500 km). For the validation of GRACE-based TWSC, we compared it with land-based TWSC which was obtained using the ground observation data: precipitation and evaporation from WAMIS, and runoff from GLDAS. According to the mean square-error test, GRACE-based TWSC best fits the land-based one at 500 km smoothing radius. The variation of the terrestrial water storage in the Korean peninsula turned out to be 0.986 cm/month, which means tha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