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for example, gender, grade, and SES) and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 scale measur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Harren, 1984) and career maturity(Crites, 1978) was administered to 223 university students around the capital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nbach's <TEX>${\alpha}$</TEX> tests, means, standard deviations, One-way MANOVAs,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career matur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and SES in career maturity. Freshmen and Senior exhibit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attitude than sophomores and juniors. High-SES group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lower career independenc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in career maturity. 51.1% of our samples were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s, 30.0% of our samples were intuitive decision-making styles, and 18.8% of our samples were dependent decision-making styles. Undergraduate students with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s showed more positive career choice behavior and higher career independenc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dependent decision-making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