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국내 거주 조선족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및 가정에서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유아권리 인식이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배경 특성에 따라 인식 및 실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경기도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는 만 3~5세 유아의 학부모 중 조선족 어머니 152명을 대상으로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내에 거주하는 조선족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 및 실행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유아의 능동적 권리를 강조하는 발달권, 참여권에 대한 인식과, 배려, 참여, 의사존중 영역에서의 실행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어머니의 인식 및 실행 수준은 어머니 연령과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권리 인식은 자녀권리존중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유조선족 어머니들이 유아기 자녀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능동적인 권리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선족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권리에 대한 인식을 함양해야 하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을 비롯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tendency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among Korean-Chinese mothers living in South Korea. We examine whether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influences their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in a family context. We also tes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se tendencies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depending on mothers’ characteristic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Korean-Chinese mo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their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Korean-Chinese mothers exhibited high levels of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However, the level of awareness was relatively low in the areas that emphasize children’s active roles including the child’s rights to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areas of care, participation, and respect for the views of the child. The mothers’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age and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The implementation level of child rights was higher when the mothers participated in parental educa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and the awareness level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mplementation of child rights. Conclusions: The Korean-Chinese mothers should be supported so that they not only protect their young children to be safe and healthy but also understand and respect the children’s participatory rights. In order to improve the mothers’ implementation level of child rights,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o consider their cultural background such as the length of stay in South Korea.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