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강관리행위의 실태를 파악하고, 치면세균막 검사법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의 차이와 이 둘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10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과 치면세균막지수를 각각 측정하여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년 이내에 구강검진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2.8%, 예방치과처치를 한 번이라도 받아봤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4.1%로 조사되었다. 불소가 포함된 세치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0.5%였으며, 칫솔질은 하루에 3회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6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칫솔질 방법은 회전법이, 칫솔질 시간은 3분이 각각 90.9%, 50.0%로 조사되었다. 치면세균막 검사법 중 O'leary index로 조사한 결과 평균 27.88로 조사되었으며, PHP index는 평균 1.30, PHP-M index는 평균 12.12로 조사되었다. 구강건강관리행위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는 칫솔질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질 시간이 2분 이하일 경우 O'leary index 31.37, PHP index 1.61, PHP-M index 14.61로 조사되었으며, 4분 이상일 경우 O'leary index 23.32, PHP index 1.07, PHP-M index 9.59로 조사되어 칫솔질 시간이 늘어날수록 치면세균막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면세균막지수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을 위한 칫솔질 여부" (B=-9.747, t=-3.752, p<0.001)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명력은 O'leary index 13.3%, PHP index (B=-0.375, t=-3.016, p=0.003)와 PHP-M index (B=-4.541, t=-3.708, p<0.001)는 각각 12.3%, 17.5%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치면세균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관리행위는 칫솔질 시간과 구강건강을 위한 칫솔질 여부로 조사되었다.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respectively from October, 2013, to the same month of 2014 to grasp their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differences in plaque index according to plaque index systems and the correlation of the two. And their plaque index was measu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62.8%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ey got a dental checkup over the past year, and 84.1% answered they received preventive dental treatment once at least or more. 80.5% replied they used a fluorine-containing dentifrice. 90.9% answered they used the rolling method to brush their teeth, and 50.0% replied it took three minutes to brush their teeth. They got a mean of 27.88 when O'leary index was used among plaque index systems. Their PHP index and PHP-M index were respectively a mean of 1.30 and a mean of 12.12. Their plaque index became lower when they spent more time brushing their teeth, and the toothbrushing tim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p<0.05). The factor that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plaque index was whether to brush teeth for the sake of oral health (B=-9.747, t=-3.752, p<0.001) or not. That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i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more patients visited dental clinics than before to receive preventive dental treatment or to get dental checkups, and that toothbrushing time and whether to brush teeth for the sake of oral health or not were identified as the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s to affect plaque index.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