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열전대 29개와 데이터록,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연소실험을 통하여 화재패턴의 영향요인/변수 중 하나인 플래시오버(flashover)를 중심으로 플래시오버 이전단계(preflashover)와 플래시오버 이후단계(post-flashover) 상황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전개하였다. 열전대 실험에서 U패턴과 역콘형 패턴을 위시하여 V패턴, 완전 연소, 포어패턴(pour pattern), 엘리게이터 탄화패턴(alligator char pattern), 보호구역 및 열 그림자 그리고 폴다운패턴(fall down pattern)에 대하여 각각 관찰하였다. 또한, 과학적인 데이터 수집과 그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실제 화재조사 현장실무에 적합한 새로운 조사이론과 아이디어를 개발하고자 열전대 및 열화상 데이터 자료에서 수집한 화재패턴과 온도변화의 분포 비교를 통하여 화재패턴 형성과정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특히, 열전대 데이터에서는 화재기둥과 공기유입의 상관관계 이론을 기초로 컨테이너 구획실의 코너와 벽에서의 화재기둥온도 900℃ 및 1,300℃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내부에서 방화에 의한 비정상 연소를 입증할 수 있었다.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on an analysis for fire pattern’s change in temperature and use of their tests data through combustion experiments using state-of-the art device such as 29 Thermocouples, a Data Logger, and Infrared Thermal Camera. Burn pattern test have been conducted in the phase of pre-flashover fire and post-flashover fire. In the thermocouple experiment, the U pattern and the inverted cone pattern are used and the V pattern, the clean burn, the pour pattern, the alligator char pattern, the protection zone and the heat shadow and the fall down pattern were observed. In addition, to develop new research theories and ideas that are appropriate for practical fire investigations on the basis of scientif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ata, the change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ocess was examined by comparing fire patterns and temperature variations collected from thermocouples and thermal image data. In particular, from thermocouple data and intensity patterns from fires, these tests have determined that the burn have become intense and have the highest temperature (1300℃) when near a floor against wall at a main gate, compared to that of corner (900℃) in experiment 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