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목적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소진에 대한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들의 직무소진 예방과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연구의 필요성을 갖는다. 경기도 17개 시, 군 628명의 보육교사 설문을 받아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ver 24.0을 사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과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단계 매개 효과분석에서 더욱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이직 의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소진의 매개 효과 결과 1)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소진의 매개 효과 검증에서 매개변수인 직무소진이 종속변수인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감정노동도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들의 직무소진 예방과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help the prevention of job burnout and the reduction of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is.,The survey was conducted by 628 childcare teachers in 17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SPSS ver24.0 through data coding. In order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direct effects,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more accurately in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First, the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1)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2)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emotional labor, an independent variabl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job burnout and reducing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