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국내 직무분석을 주제로 한 관련 선행연 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데이터베이스들을 이용하여 광범 위한 참고문헌의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참고문헌은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29편의 연구물들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분야가‘직업’인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었 다는 점, 두 번째, 직무분석 시 가장 많이 활용된 기법으로는 DACUM기법이었으며, 대상은 공공교육 분야, 직무교육분야, 의료분야로 구성되어있었고 주요분석 내용은 직무정의, 책무와 과업, 중요도 등인 점, 마지막으로 직무분석 연구결과는 대부분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에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DACUM기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한 직무분석이 진행되어야 하며, 직무분석의 연구결과를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뿐만이 아니라 직무모형, 직무 매뉴얼, 직무개선 등 평가와 보상의 측면에서 활용 되어야 한다는 점, 직무분석이 일회성이 아닌 일정 시점이 지나면 새롭게 직무분석 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직무분석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직무분석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cent research trends about job analysis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For this purpose, a wide range of references was collected by using databases for domestic research papers. Finally, a total of 29 articles a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our own selection process prepar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research in job analysis wa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occupation . Second, DACUM survey is the major methods used for job analysis. The subjects of job analysis are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job education field and medical care field. Thus the important analysis contents include job definition, responsibilities, tasks, and task’s importance etc. Finally, various suggestions for job analysis results are appear. Among these suggestion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is training program.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from job analysis should be used in terms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 of curriculum, including job model, job manual and job improvement, as well a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Job analysis should be newly performed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rather than a one-off event, laying the groundwork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eliciting implications for future job analysis studies and in presenting research directions for current and future job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