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및 우울 대응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심리적 독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4개교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우울하지 않음 54.2%, 경증 우울 22.9%, 중증 우울 16.8%, 심한 우울 6.1%로 나타났으며, 우울 대응행동은 인지활동지향행동 30.76%, 혼자하는 행동 28.32%, 대물지향행동 25.50%, 대인관계지향행동 15.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독립은 우울 수준에 따라 갈등적 독립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갈등적 독립만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을 강화하고 어머니와의 갈등적 독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한 우울 대응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separation,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depressio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131 students who were in 4 university in Chungcheong-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index,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instrument. The level of depression was classified into; not depressed, 54.2%; mildly depressed, 22.9%; moderately depressed, 16.8%; severely depressed, 6.1%. Among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cognitive activity-oriented behaviors was the one with highest percentage(30.8%).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functional independence, attitudinal independence, emotional independence from father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mother. And depre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fa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strengthen psychological separation form parents and to be able to help desirable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