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 미국의 ‘시민 무질서에 대한 국가자문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에서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시작되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범죄두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토대로 현재까지 수많은 범죄두려움의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초기의 범죄두려움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느끼는 범죄두려움 즉, 일반적 범죄두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각각의 범죄유형에 따른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범죄피해 모델, 범죄취약성 모델, 지역무질서 모델, 사회통합 모델 그리고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모델을 선정함에는 범죄두려움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에 따른 복합적인 감정적 반응이기 때문에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구체적 범죄두려움을 원인으로 제시한 설명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KCVS: Korean Crime Victim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자료의 조사 기준 시점은 2015년 5월 29일 0시 현재 대한민국영토 중 행정권이 미치는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가구 및 만 14세 이상 가구원이다. 연구결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범죄피해 모델, 범죄취약성모델, 지역무질서 모델, 사회통합 모델 그리고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모델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제시한 모델은 범죄취약성 모델 그리고 지역무질서 모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The study of fear of crime was started from 1960s 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 in USA when it was recognized as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there are going along a lot of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hen it is based on 1990s qualitative research about fear of crime until now. In the early study of fear of crime, it was felt fear of crime in daily life which it menas that was focused on general fear of crime. However, nowadays most studies in fear of crime is understanding what caused the concrete fear of crime according to type of crime. In this study, it compare and analyze selected models as crime victim model, a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social integration model and community policing model for understanding concrete fear of crime. When it selected five models, it has to analyze explanatory model to cause of concrete fear of crime in preceding research. The reason why to analyze preceding research is because fear of crime is an effect of complex emotional reaction. The data is used to KCVS(Korean Crime Victim Survey) of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The time of survey standard is member of household more than 14 years old who live in Korea on May 29th 2015 at 00:00 am. Result of study, by explaining concrete research, crime victim model, a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social integration model, and community policing model is significant consequences. Also, a huge influence model is a vulnerability model and disorder model among these model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is a policy suggestion for solve cause of concrete fear of crim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