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孟子 <告子>편의 구성과 주제에 대하여 밝힌 것이다. 기존의 孟子 사상을 논하는 연구물들은 <告子>편의 텍스트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 내용은 대부분 ‘性’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주가 되고 있으며, <告子>편 전체가 마치 전체가 ‘性善說’을 논한 篇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告子> 章句 上의 일부 텍스트를 위주로 논의되었고, 上, 下를 총체적으로 다루는 연구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告子>편 전체를 단락별로 나누어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고는 <告子>편의 구성을 모두 10개의 단락으로 분절하였다. 단락 분석의 방법은 論語 의 선행연구 방법을 채택하였고, 맥락에 맞게 내용별로 하나 이상의 장을 주제별로 묶어서 하나의 단락으로 본다. 첫 번째 단락은 1~6장으로 ‘본성은 선하며 仁義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두 번째 단락은 7~10장으로 ‘외부 환경에 따라 不善해진 왕과 신하들이 본성의 선함을 회복해 仁義의 정치에 힘써야한다.’는 것을 밝혔다. 세 번째 단락은 11~15장으로 ‘위정자의 본성인 仁義를 비유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네 번째 단락은 16~18장으로 ‘仁義를 닦는 天爵에 힘써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 번째 단락은 19~20장으로 ‘성인의 도인 仁義를 법도로 삼아야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은 章句 上이며 이론제시 및 전반부에 해당한다. 여섯 번째 단락은 21~24장으로 ‘仁義 政治의 실천덕목인 ‘禮’와 ‘孝’가 제시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일곱 번째 단락은 25~26장으로 ‘앞 단락의 구체적 사례로 폐백과 실천 방식’에 대하여 밝혔다. 여덟 번째 단락은 27~32장으로 ‘당대 군주와 위정자가 富國强兵이 아닌 仁義 政治를 구현해야한다.’는 것을 밝혔다. 아홉 번째 단락은 33~35장으로 ‘벼슬을 하기 위한 군자의 자질로 好善, 禮, 敬, 行’을 밝혔다. 열 번째 단락은 36장으로 ‘心志를 세우는 것이 仁義 政治의 실현방법이다.’는 것을 밝혔다. 이상은 章句 下이며 上에서 밝힌 이론적 제시를 통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방향으로 결론짓는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로서 <告子>편의 주제는 단순히 본성이 선하다는 것을 밝히는 데에 그치지 않고, 선한 본성 곧 仁義의 자질을 회복하여 잘 지켜나가는 사람만이 군자로서 왕도정치를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organization and topics of the Goja book of Mencius.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the ideas of Mencius made much use of texts from the Goja book, mostly dealing with philosophical discourses about “sex.”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whole content of Goja addresse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Those studies, however, focused their discussions on some texts from Janggu Sang in the Goja book, never proceeding to address the entire Sang and Ha.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whole Goja book by section. The investigator divided Goja into ten sections by employing the method of section analysis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previous studies. One or more chapters were put in the same section based on context and content. Section 1 spans from Chapter 1 to Chapter 6, demonstrating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has humanity and justice in it.” Section 2 encompasses Chapters 7~10, stating that “the king and his subjects, that have been evil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hould restore the goodness of their nature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politics of humanity and justice.” Section 3 contains Chapters 11~15, arguing that “humanity and justice, part of a politician s nature, has been proposed through figure of speech.” Section 4 includes Chapters 16~18, maintaining that “they should work on their natural nobility of cultivating humanity and justice.” Section 5 includes Chapters 19 and 20, arguing that “they should take humanity and justice, the morality of saints, as their custom.” Those belong to Janggu Sang, proposing theories in the former half. Section 6 spans from Chapter 21 to Chapter 24, showing that “courtesy and filial duty, the practice of virtues of politics of humanity and justice, have been proposed.” Section 7 includes Chapters 25 and 26, discussing “Pyebaek and methods of practice as the specific cases of the previous section.” Section 8 includes Chapters 27~32, arguing that “the contemporary monarchs and politicians should carry out politics of humanity and justice instead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ection 9 contains Chapters 33~35, mentioning “Hoseon, courtesy, respect, and action as the qualities of a man of virtue to hold government positions.” The final Section 10 is Chapter 36, stating that “keeping one s will right is to practice the politics of humanity and justice.” Those belong to Janggu Ha, reaching a conclusion toward practicable directions to implement them by proposing the theories addressed in Sang.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opics of Goja go beyond the demonstration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maintain that only those who restore and practice their good nature or the qualities of humanity and justice can carry out benevolent royal politics as men of virtue.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