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는 지정학적 입지 덕분에 인근 대륙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몰려들어 인구를 구성했다. 1819년 영국에 의해 개항이 되면서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유라시안계 등 4대 주요 민족의 거주지를 구분해 배치한 정책은 지금도 유지되고 있으며, 모두가 섞여 지내는 ‘멜팅 팟’이 아니라 이른바 ‘서로 투과되면서도 각자 뚜껑이 덮인 민족성’이라 불리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를 유지하는 노선을 지키고 있다. 이에 따라 민족의 자부심을 표출하는 도구로서의 뮤지엄인 ‘헤리티지 센터’를 각 민족별로 설립했으며, 이들 4대 민족과 현지인이 결합해 생겨난 혼혈 민족도 독자적으로 ‘페라나칸 뮤지엄’을 세웠다. 뮤지엄은 전시를 통해 의도를 전달한다.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해서 전시물의 수와 순서를 조정하는 작업은 의도에 따라 요소들을 재배치해서 이야기에 공감하게 만드는 스토리텔링과 유사한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5개 민족별 뮤지엄의 전시 스토리텔링을 서사기호학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 숨은 전략을 밝혀내고자 했다. 방법론으로는 그레마스가 주창한 서사 프로그램, 서사 도식, 행위소 모델, 기호 사각형을 사용했다.Singapore s geopolitical location has resulted in a large population of migrants from nearby continents. After the port was opened by the British in 1819, the policy of dividing and inhabiting the residences of four major ethnic groups, including Chinese, Malay, Indian and Eurasian, is still maintained. It is not a “melting pot,” where everyone is mixed, but maintains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called “permeable and canopied ethnicity”. As a result, the “Heritage Centre,” a museum that expresses pride of each ethnic group, was established behind one another, and the mixed-race people created by combining these four ethnic groups with local people independently established the “Peranakan Museum”. Museums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through the exhibition. Adjusting the number and order of exhibits in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s movements is similar to storytelling process, in which elements are reloca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to make the readers empathize with the story.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the strategy behind the exhibition storytelling of five ethnic museums, four Heritage Centres and Peranakan Museum in Singapore through structuralist narrative semiotics. The methodologies used were narrative program, narrative scheme, actantial model and semiotic square advocated by structuralist semiologist A. J. Gre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