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family spillover towar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o offered less benefits for maintaining balanced life between workplace and household than major company, and to verify moderate effects of benefits. This study carried out 269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rk-family negative spillover,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employee benefits showed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benefits was show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negative spillov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ighlights

  •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조화로운 삶을 위해 제공되는 복리후생 제도가 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간 전이(직장-가 정 부정적 전이: 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 WFP, 가정-직장 부정적 전이: FWN, 가정-직 장 긍정적 전이: 가 FWP) 조직몰입(OC)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직장에서 제공되는 복리후생제도(EB)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중소기업 근로자 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총 269부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에 직장-가정 부정적 전 이(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FWP), 복리후생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복리후생 제도는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가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만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부정적 정서를 관리하고, 긍정적 정서를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조직의 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 때 복리후생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직장-가정 간 전이, 복리후생제도, 조직유효 성 간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별, 연령, 학력, 결혼여부(백승규, 이영면, 2010; 이규만, 2005; Powell & Eddleston, 2012; Qu & Zhao, 2012; Vanaki & Vagharseyyedin, 2009; Wayne et al

  • 복리후생제도 이용이 직장-가정 간 전이가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모델 3에 제 시되었다. 모델 3의 경우 전체 설명력은 로 38.9%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 을 끼치는 변수는 직장-가정 부정적, 긍정적 전이(WFN, 와 WFP), 복리후생제도(EB), 직장-가 정 부정적 전이(WFN)와 복리후생제도의 상호 작용항 인 (WFN*EB)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리 후생제도는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만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는 복리후생 이용 수준에 따라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리후생제도와 직장-가정 전이 간에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 는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 사이에서 조화로운 삶을 위해 제공되는 복리후생 제도가 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간 전이(직장-가 정 부정적 전이: 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 WFP, 가정-직장 부정적 전이: FWN, 가정-직 장 긍정적 전이: 가 FWP) 조직몰입(OC)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직장에서 제공되는 복리후생제도(EB)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의 중소기업 근로자 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총 269부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에 직장-가정 부정적 전 이(WFN), 직장-가정 긍정적 전이(FWP), 복리후생제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복리후생 제도는 직장-가정 부정적 전이(WFN)가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만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부정적 정서를 관리하고, 긍정적 정서를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조직의 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 때 복리후생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최수찬 외 /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복리후생제도의 조절효과 근로자들이 부정적 전이를 경험한 경우 기 업의 복리후생 이용 수준이 높다면 역할 수행 에 따른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자원의 확보 와 조직이 근로자를 배려한다는 긍정적인 인 식을 통해 부정적 전이의 정서가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이 낮아지지만, 가정-직장 간 부정 적 전이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