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daily mood(positive or negative affect) alters creative behaviors of employees, and how personality traits(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moderate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assuming that mood in organization varies on a daily basis, w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mood in the workplace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CPE) at a within-person level.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on how emotional valence stimulates creative behaviors, we developed and tested hypotheses stating that positive mood would facilitate creative behaviors while negative mood would inhibit them. Moreover, as moderators,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of the Five-Factor traits which either strengthen or weaken the relations between mood and creative behaviors. The model was tested on a sample of 71 employees of large companies in Korea.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mood and CPE for 10 working day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aily positive mood enhances CPE while negative mood hinders it, and conscientiousness attenuates the effect of mood on CPE. In particular, for those with high conscientiousness, the influence of mood on CPE was not as strong, and highly conscious people portrayed a relatively stable and high level of CPE.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contribution of between-and within-person level variables in predicting creativity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Highlights

  • 창의적 행 동'만큼 인류에게 중요하고 큰 기여를 한 행 동도 찾기 어려울 것이다

  • 그러나 긍정적 기분이 실제로 관찰 가능한 창의적 성과를 내는지를 살펴보기 위 해서는 본 연구의 모형을 확장시켜 보다 명확 한 인과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하루의 기분(긍정 또는 부정)에 따라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리고 그러한 변화에서 성격특성(성실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체 적으로 직장에서의 기분이 매일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개인의 근무 중의 일상적인 기분과 창 의 과정 몰입(CPE) 간의 관련성을 개인 내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긍정 또는 부정 정서를 나타내는 정서의 유인가 가 (valence)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기분은 창의적 행위 를 촉진하고, 부정적인 기분은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과 기분과 창의 과정 몰입(CPE)간의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 조절 변인으로서 성격 5요인인 성실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명71 의 국내 대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0일간 기분과 창의적 행동을 반복 측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긍 정적 기분은 창의 과정 몰입을 증가시키지만, 부정적 기분은 감소시키며, 성실성은 기분이 창의 과정 몰 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기분이 창의 과 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높은 수준의 창의 과정 몰입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성을 예측하는 개인 간, 개인 내 수준의 차별적 영향력을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함의와 연구의 한 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부정적 기분과 창의성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부정적인 정서가 보 다 더 창의성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긍정 또는 부정 정서와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더 강화시킬 것이라는 이러한 논 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가설 와3a 가설 를3b 설정하였다.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