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ㆍ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 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and to identify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mployability perceived by workers. To do th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surveyed on 2,600 worker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in the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201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was low, except for some occupations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fields. Secon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employment possibilities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re as follows: low importance of the final education, low importance of the major, low importance of qualification, high importance of vocational training, easy to return after the career break,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high level of pleasant work environment, high employment retention, easy to self-employment or start-up, and increasing number of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upport employment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 from the occupa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some detailed jobs or to develop convergence occupation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increas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occupatio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