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effects of sympathy modul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a way to improve quality of teacher's lives, precondition of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happiness, with 249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Daejeo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ome scales such as sympathy modul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at scale were conduct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and factor analysis, the relationship among 4 scales was fou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sympathy module and psychological capitals was seen by performing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hypothesis Ⅰ'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at group with reasonable sympathetic module' and hypothesis Ⅱ 'teacher group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at group with lower levels of one' were supported. However, the result indicated that hypothesis Ⅲ '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 group was not supported. Furthermore, hypothesis Ⅳ'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y module has higher level of happiness than that group with reasonable sympathetic module and hypothesis Ⅴ' teacher group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happiness than that group with lower one were supported. However, the result found that hypothesis Ⅵ '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happiness than the other group was not supported. The research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more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improved psychological capital enables to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exchange and communication process. The result gives an opportunity to seek a variety of education and practical method for more e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increased psy

Highlights

  • 이 연구는 행복교육의 실현을 위해 교사의 삶의 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교사의 직무 만족과 행복을 제고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 안을 찾고자 시작하였으며, 그 해결의 실마리 를 의사소통과 관련된 공감모듈과 교사의 심 리적 특성인 긍정심리자본을 중심으로 탐색하 고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 교사를 대상으로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 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밝힌 김민숙 등(2012)의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선미, 2014; 최강희, 2009; 황인호, 장성화, 2012 등)은 공감능력이 직무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며, 국내 외식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밝힌 정효선, 윤혜현(2014)의 연구를 비롯한 선행연 구들(김혜영, 2013; 박미, 2013; 유태순, 2015; 유흔흔, 2015 등)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 준다.

  • 이 연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 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고자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공감모듈유형과 긍정심리자본을 종속변수로는 직무만족과 행복을 측정하였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이 연구는 행복교육의 실현을 위해 교사의 삶의 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교사의 직무 만족과 행복을 제고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 안을 찾고자 시작하였으며, 그 해결의 실마리 를 의사소통과 관련된 공감모듈과 교사의 심 리적 특성인 긍정심리자본을 중심으로 탐색하 고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 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밝힌 김민숙 등(2012)의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선미, 2014; 최강희, 2009; 황인호, 장성화, 2012 등)은 공감능력이 직무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며, 국내 외식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밝힌 정효선, 윤혜현(2014)의 연구를 비롯한 선행연 구들(김혜영, 2013; 박미, 2013; 유태순, 2015; 유흔흔, 2015 등)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 준다. 이 연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 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고자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공감모듈유형과 긍정심리자본을 종속변수로는 직무만족과 행복을 측정하였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