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four different types of voice behavior developed by Maynes and Podsakoff(2013). In addition, rel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o four different types of voice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 trust 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oice behavior were examined. Data were obtained from 309 employees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proactive personality was positively influences constructive voice and negatively influences destructive voice. Also psychological collectivism was positively influences supportive voice, and trait cynicism was positively influences defensive voice and destructive voice.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organization trus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llectivism and supportive voice, defensive voi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EVL이론은 경제-정치 영역에 있어 서 조직적 악화와 잠재적 이익을 탐색하는 과 정에서 제안된 이론 이다 (Gorden,1988)

  • 특히 심리적 집합 주의와 냉소적 성격은 발언행동 연구에서 사 용되지 않은 변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발언행 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를 추가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타당화된 발언행동의 4가지 유형이 국내에서도 구분이 되는지 밝 히고자 하며, 발언행동의 선행변인으로 주로 연구된 성격 5요인 모형이 아닌 주도적 성격, 심리적 집합주의 및 냉소적 성격과 같은 개인특성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 이다. 또한 개인특성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신뢰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는 것이 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자와 조건에 맞지 않는 응답자를 제외하고 309명의 데이터를 사용 하여 분석하였다. 개인특성과 발언행동 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도적 성격은 건설 적 발언행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파괴적 발언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집합주의는 지지적 발언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냉소적 성격은 방어적 발언행 동과 파괴적 발언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절효과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신뢰는 심리적 집합주의와 지지적 발언행동, 그리고 방어적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심리적 집합주의는 조직의 이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조직을 옹호하는 지지적 발언과는 정적으로 관련되며, 자신에게 다가 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조직에 이익이 되는 변화를 거부하는 방어적 발언과는 부적으로 관련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조직신뢰는 개인특성 변인 가운데 주도적 성격 및 심리적 집합주의 와 상호작용하여 이러한 개인특성이 발언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