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nowledge hiding motivation scale. First, in preliminary study, using the open-ended survey research method, 89 cases were collected from 200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After eliminating overlapped and unintended cases of knowledge hiding, 42 cases in five categories(rationalization, ownership, competition, avoidance, and relation) were obtained. Based on the previous theory, we removed one category(rationalization) and constructed 34 items from cases. Then,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find out factor structure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 using the responses of 193 employee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After eliminating low factor loading item and double loaded items, 17 items were obtained in the structure of four factors(personal ownership, fear of loss, concern for negative evaluation, and negative relation). Then, we conducted 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responses of 300 employee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and found the four factor structure of 17 items was valid. Also, we examined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convergent validity,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ownership, interpersonal competitivenes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negative reciprocity. As a result, personal ownership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fear of los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itiveness, concern for negative evalua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negative rela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egative reciprocity. We examined whether knowledge hiding motiv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imilar constructs such a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knowledge transfer,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hoard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knowledge hiding motivation can be well discriminated with knowledge sharing intention, knowledge transfer,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hoarding. In order to testif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iding motivation and knowledge hiding.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knowledge hiding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nowledge hidi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Highlights

  • 적인 조직문화, 관리적 지원, 보상, 팀의 특성, 사회적 네트워크 등의 선행요인이 필요하다 (Wang & Noe, 2010). 그러나 지식공유는 지식 을 제공하는 사람과 제공받는 사람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식제공자의 노력과 의도가 가장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과 관리 방식을 가지고 있어도 어떤 특 정한 개인이 지식을 독점하고 공유하지 않는 다면 지식경영의 효과는 낮을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Choi, 2002). 여러 연구자들은 지식공유 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은 개인 특성이며, 조직은 대인 간 지식공유 상황에서 개인 특성 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 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Carter & Scarbrough, 2001; Kim & Shim, 2018; Voelpel, Dous, &

  • 그렇다면 왜 조직 구성원들은 지식을 숨기 려고 할까? 연구자들은 개인이 지식을 숨기는 다양한 원인을 연구해왔는데 대표적으로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지식을 공유하 는 것이 조직차원에서는 조직과 동료를 돕는 지원행동이지만, 개인의 입장에서는 오랜 경 험을 통해 얻은 자신만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어렵게 얻은 지식일수 록 지식소유감이 높기 때문에 지식공유 과정 에서 자신의 노하우를 쉽게 공유하고 싶어 하 지 않는다(Peng, 2013). 또한 지식을 숨기는 것 은 조직차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 지만, 개인 차원에서는 오히려 자신의 가치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Peng, 2013). 예를 들어 동료들이 갖고 있지 않은 지식과 노하우를 통해 업무 수행을 높일 수 있고, 그로 인해 새로운 기회를 얻거나 더 높은 지위에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이유로 지식을 숨기려 하는 것이다

  • Because I learned the knowledge with difficulty, I did not want the .894 .005 -.011 .010 .807 requester know them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조직구성원의 지식은폐 동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200명을 대상으로 지식은폐 이유에 대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89개 사 례를 수집하였다. 사례들 중 비의도적 지식은폐 19개 사례와 중복 사례 28개를 제외하고 5개 범주(합리화, 소유, 경쟁, 회피, 관계)에 속한 42개 사례를 얻었다. 5개 범주 중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동기보다는 행동에 가깝다고 판단한 합리화 범주를 제외하고 4개 범주에 속한 34개 사례를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 후,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 193명을 대상으로 34개 문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 인분석 결과, 요인계수가 낮거나 여러 요인에 걸쳐 있는 17개 문항을 제거한 후, 4개 요인(사적 소유, 손실 우려, 부정평가 염려, 부정적 관계)에 속한 17개 지식은폐 동기 문항을 얻었다. 지식은폐 동기 척도의 요인구조를 타 당화하기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3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지식은폐 동기 척도의 모 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식은폐 동기 척도의 4요인(사적 소유, 손실 우려, 부정평가 염려, 부정적 관계) 구조 모형이 가장 타당하였다. 지식은폐 동기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수렴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식은폐 동기 척도와 심리적 주 인의식, 대인 경쟁심,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 호혜성의 4개 변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은 사적 소유 요인, 대인 경쟁심은 손실 우려 요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부정평가 염 려 요인, 부정적 호혜성은 부정적 관계 요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지식은폐 동기 척도와 유사 개념 간 변별성을 살펴본 결과, 지식은폐 동기는 유사한 개념들(지식공유 의도, 지식전이 의도, 지식공유, 지식축적)과 부 적 상관을 보이거나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아 개념이 서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준거관련타당도는 지 식은폐 행동과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지식은폐 동기와 지식은폐 행동 간에는 유의한 관련이 있음 은 물론, 지식은폐 동기의 각 하위요인과 지식은폐 행동의 각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 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은폐 동기 척도를 개발 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지식을 전달하지 않으려 는 동기를 파악하고 개념화하여 지식은폐의 다양한 원인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지식은폐 동기 척도 개발을 통해 조직에서 개인이 지식을 숨기는 다양한 이유를 알 수 있고 지식축적과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기 때 문에, 조직이 개입하는 데 있어 차별적인 시 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Peng(2013)은 개인이 가진 지식에 대한 심리 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지식을 공유하지 않 고 숨기려는 의도와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점 을 확인하였으며, von der Trenck(2014)도 지식 의 특수성과 복잡성이 지식에 대한 심리적 주 인의식을 높여 지식은폐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설명했다. 따라서 심리적 주인의식 이론 에 따라, 지식을 독점하고 지식을 통제권 밖 으로 나가지 않도록 소유하고자 하는 동기는 지식은폐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고양 동기를 가진 개인은 자신의 지식을 보존하여 타인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상황을 만들고자 할 것이다. 상황에서 지식을 숨기려 했던 상황과 그 원인, 결과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총 89개의 사례 를 얻었다. 수집한 사례 중에는 의도적인 지 식은폐와 비의도적인 지식은폐가 모두 포함되 었는데, ‘보안상의 이유로 전달할 수 없거나, 단순히 업무가 바쁘기 때문’ 이라는 등의 비 의도적인 지식은폐 사례 19개는 제외하였다. 이후 8명의 산업 및 조직심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이 각각의 사례가 어떤 범주로 분 류되는 것이 적합한지 검토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70개 사례를 내용 유사 정도에 따라 5 개로 범주화하였고, 70개 사례 중 내용이 중 복되는 28개 사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2

Sample cases
Because the requester might gain better opportunities through the shared
Because I had concern for the possible negative feedback
Findings
Kwangwoon Univer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