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on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and a total of 245 data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promo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innovative work behavior, but the preven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affect innovative work behavio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promo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but the preven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only posi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work behavior, but posi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did not affect innovative work behavior. Fourth, the promo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had indirect effects on innovative work behavior through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re companies that pursue innovation, the more they need to form a promotion focus organizational culture, so that employees can actively accept and utilize negative feedback without being wary of negative feedback.

Highlights

  • 조절초점 조직문화는 조절초점 이론이 개인 의 동기 경향성을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으로 구분한 것과 마 찬가지로,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의 문화 를 어떻게(향상적, 예방적) 지각하는가를 측정 함으로써 조직문화를 개인의 동기 경향성과 일관된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즉, 특성 활성화 이론(Tett & Burnett, 2003)의 주장 에 의하면 향상초점 조직문화에 속한 구성원 은 향상초점적 업무행동을 보이고 예방초점 조직문화에 속한 구성원은 예방초점적 업무행 동을 보일 수 있다. 조절초점 조직문화의 영 향은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성장과 발전을 중시하고 이를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향상초점은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안전과 의무이행을 중시하고 위험을 회피하는 예방초점은 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anaj, et al, 2012; Wallace et al, 2016)

  • 마지막으로 조직문화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에서 는 향상초점 조직문화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상초점 조직문화는 혁신적 업무행동을 직접 높일 뿐 아니라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 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예방초점 조직문화는 혁신적 업무행동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피드백 추구행동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 았다. 다시 말해 조직의 향상초점 문화는 그 자체로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높일 뿐

  • 셋째, 구성원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증진시 키기 위해서는 긍정적 피드백 보다는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피드백을 제공하는 상사가 부하의 실패에 대한 개방적 자세를 보여주고 부하의 발전과 성장에 초점 을 둠으로써 부하로 하여금 부정적 피드백을 요청하는데 대한 비용보다 도구적 가치를 높 게 지각하게 해주어야 한다는 점이 될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피드백 추구행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24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향상초점 조직 문화는 혁신적 업무행동을 증가시켰으나 예방초점 조직문화는 혁신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조직문화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관계에서 향상초점 조직문화는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 모두를 증가시켰으나 예방초점 조직문화는 긍정적 피드백 추구행동만 증가시켰다. 셋째, 피드백 추구행동 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긍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조절초점 조직문화 중 향상초 점 조직문화만이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본 연 구결과는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일수록 향상초점 조직문화를 형성하여 종업원들로 하여금 부정적 피드백 을 경계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활용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일부 가설이 지지되지 않은 이유와 함께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현광은.권은아.허창구 /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