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job crafting for employees to solve the problem when they have the misfit between self and their job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which is a misfit between job requirements and ability of employee, on job crafting were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t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a result of a survey of 341 workers, perceived overqualif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The approach goal orientation, more specifically,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job crafting. The higher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the stronger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job crafting. These results suggest job crafting is a series of behaviors for increasing performance rather than mastering 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Highlights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자신과 직무가 적합하지 않을 때 이를 해결하려는 능동적 잡 크래 프팅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직무 요건과 조직구성원의 능력이 적합하지 않은 상태인 지각된 과잉 자격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성취 목표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 과, 지각된 과잉 자격은 잡 크래프팅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었고, 지각된 과잉 자격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성취 목표 지향성 중 수행-접근 목표 지향성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잡 크래프팅을 역량 개발보다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 로 해석하였고,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 하였다

  • This study focused on job crafting for employees to solve the problem

  • they have the misfit between self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자신과 직무가 적합하지 않을 때 이를 해결하려는 능동적 잡 크래 프팅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직무 요건과 조직구성원의 능력이 적합하지 않은 상태인 지각된 과잉 자격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성취 목표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3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 과, 지각된 과잉 자격은 잡 크래프팅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었고, 지각된 과잉 자격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성취 목표 지향성 중 수행-접근 목표 지향성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잡 크래프팅을 역량 개발보다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으 로 해석하였고,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각된 과잉 자 격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며, 선행 연구에서 개인의 동기가 잡 크래프팅의 효과를 조절한다는 주장이 있으므로(e.g., Berg et al, 2013, Demerouti, 2014; Wrzesniewski & Dutton, 2001), 성취 목표 지향성이 두 변인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지각된 과잉 자격과 잡 크래프팅 의 정적 상관 관계를 수행-접근 목표 지향성 이 조절하지만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조절 하지 않을 것이다. 즉 수행-접근 목표 지향성 의 경우, 수행-접근 목표 지향성이 낮을 때보 다 높을 때 지각된 과잉 자격과 잡 크래프팅 의 정적 관계는 더 강할 것이다. 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 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각각 요인은 모든 경로에서 표준화된 요인 부하량이 .5 이상이 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CR > 1.965). 개념

Job crafting
Autonomy Perceived overqualification
Perceived Mean overqualification
Finding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