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leg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G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g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positional cyn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202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To reduce the effect from common method bias, the contextual performance was rated by both self and others(twenty-two peers or supervisors). As results, the delegat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delegation and POS) and self-rating contextual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delegation and POS) and other-rating contextual performance. The growth need strength had moderating effect on th relationship delegation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ecause the relationship was more positive when GNS was high. Also dispositional cynicism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because the relationship was more positive when dispositional cynicism was low. Finally, implication of result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Highlights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동일시의 선행변 인으로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변인이 아니라 조직차원의 개입으로 간주할 수 있는 권한위 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권한위임 은 리더의 관리행동 으로 부하에게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하는 것 을 의미한다 조직 내 (Locke & Schweiger, 1979). 에서의 권한위임은 조직 구성원에게 의사결정 권을 부여하고, 업무에서의 자율성을 높이고,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나 의견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각된 조직지원 은 조직이 조직 구성원에게 몰입하는 정도(Eisenberger, Fasolo, & 로 조직이 조직 구성원의 Davis-LaMastro, 1990) 공헌을 의미있게 여기고 조직 구성원에게 관 심을 갖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개인이 지각 하는 조직지원은 상담이나 멘토링 등의 지원, 복리후생 강화 등을 포함한다. 조직동일시의 선행변인으로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동일시

  • 단계에서 지각된 조직지원과 냉소주의의 상호 작용항이 유의한 회귀계수(β=-.139, 를 p

  • Key words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elegati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wth need strength, cynicism, contextual performance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조직차원의 개입 및 지원으로 볼 수 있는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 원이 조직동일시와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고,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권 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특성 변인 인 성장욕구 강도와 냉소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기업 및 공공기 관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02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 다. 맥락수행 측정은 공통방법편파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답자 스스로 평정한 자기 보고 방법뿐만 아니라 동료 또는 상사가 평정한 타인평정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구성원의 자기평정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의 조직동일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타인평정에 의한 맥락수행 에서는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개인의 성장욕구 강도가 강할 때 권 한위임과 조직동일시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성장욕구 강도는 권한위임 과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냉소주의적 성향이 낮 을 때 지각된 조직지원과 조직동일시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구성원의 냉소주의는 지각된 조직지원과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 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조직차원의 개입 및 지원으로 볼 수 있는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 원이 조직동일시와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고,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권 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개인특성 변인 인 성장욕구 강도와 냉소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연구 결과, 권한위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이 조직구성원의 자기평정 맥락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의 조직동일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냉소주의적 성향이 낮 을 때 지각된 조직지원과 조직동일시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구성원의 냉소주의는 지각된 조직지원과 조직동일시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동일시의 선행변 인으로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변인이 아니라 조직차원의 개입으로 간주할 수 있는 권한위 임과 지각된 조직지원의 영향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조직구성원이 자신 이 속한 조직에 대하여 동일시하는 정도가 강 할수록 조직과 자신을 공동운명체로 간주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자신이 맡지 않은 일도 자발적으로 하고, 동료들을 돕고, 조직을 옹호 하는 등의 맥락수행을 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변인이다(유태용 역, 직무특성 모델은 과 2009)

Hackman Oldham
Findings
Kwangwoon Univer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