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우연기술에 따른 대학생의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예측요인의 영향 및 결과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생 52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계획된 우연기술의 다섯 개 하위요인 점수를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별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에 대한 점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 집단(적극적 대응형, 평범한 대응형, 소극적 대응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영향요인 중 성별, 학년, 전공계열, 성적, 재학 중인 대학 소재지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일하게 긍정적 양육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가 소극적 대응형에서 적극적 대응형으로 갈수록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 연구가 드문 가운데,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를 통해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반응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진로발달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