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IT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교환론적 시각에 입각하여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을 체계적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Price의 이직의도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10개 IT업체 종업원 370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주된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과업보상변수(직무다양성, 직무자율성, 직무도전성, 역할모호성), 두 개의 사회적 지원 변수(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세 개의 조직보상변수(승진기회,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그리고 환경변수인 구직기회가 총효과의 측면에서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의 방향은 이론적 예측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보상변수들에 덧붙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두 변수도 IT업계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총효과의 크기의 측면에서 이직의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고,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IT industry employees, based on the Price's structural model of employee turnover.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70 employees from 10 IT firm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echnique. This study found that four task reward variables(job variety, job autonomy, job challenge, and role ambiguity), two social reward variables (supervisory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three organizational reward variables(promotional chances, job security,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one environmental variable(job opportun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IT industry employees' intent to leave in terms of total effects and his directions of those significant effects were consist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and that two mediating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IT industry employees' intent to leave in terms of total effec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