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s)를 이용하여 기억 판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처리, 특히 반응 갈등과 반응 억제를 반영하는 전두 중앙(FCz) N200 (200~300 ms)과 P300(300~500 ms) 성분을 분석하여 피해자 및 목격자들의 기억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목격집단(N=9)은 동영상에서 본 목표자극(만원 다발)을 동영상에서 목격했다고 반응하고, 지시집단(N=8)은 동영상에서 보지 못한 목표자극을 목격했다고 반응하도록 안내받았다. 이들은 뇌파를 기록하면서 목격 여부에 따라 본인의 경험과 일치하는 문장이 화면에 제시되었을 때는 버튼을 누르고, 그외에는 버튼 누르는 것을 억제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시집단이 목격집단보다 반응 단계에서 갈등을 반영하는 N200 진폭은 감소하였으며, 반응 억제를 반영하는 P300 진폭이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런 결과는 실제 목격 여부에 따라 목격 판단의 인지신경생물학적 기전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ERP를 이용하여 기억 판단 과정을 추론함으로써 목격자들의 실제 기억 여부를 변별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the memory decision process in the eyewitness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e analyzed N200 (200~300 ms) and P300 (300~500 ms) components recorded in FCz electrode. The witness group (N=9) was the participants who witnessed the target stimulus (bundle of 10,000 KRW) and the instruction group (N=8) was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actually see the target stimulus in the video but responded to see the stimulus. Participants were performed the memory decision task of pressing the button only when the statement was congruent to their memory. Results showed lower N200 and higher P300 in the instruction group during decision task. These results indicated different cognitive neurobiological mechanisms for memory decision in real eyewitness and false eyewitn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