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순차적 제시방식에서 식별률을 낮추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 요인들의 유무에 따라서 목격자의 식별 정확성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식별절차를 수행하기 전 식별 전 지시에 따라서도 순차적 제시방식 유형의 식별 정확성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피험자간 설계로 순차적 제시방식의 즉시 판단규칙과 정지 규칙의 유무, 식별 전 지시의 편향 지시와 비편향 지시, 사진열 중 실제 범인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조건별로 할당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범죄 사건을 촬영한 동영상을 시청한 후 범인식별 절차를 거쳤다. 연구 결과는 사진열에 실제 범인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즉시 판단을 하지 않고 정지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조건이 두 규칙을 적용한 다른 조건보다 더 높은 식별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실제 범인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순차적 제시방식에 따른 식별 정확성의 차이가 없었다. 식별 전 지시에 따라 순차적 제시방식의 식별 정확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높은 식별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오기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라인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목격자 식별 절차와 관련한 정책적 함의는 이후 논의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