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지각된 관계성(또래 영향)이 영어 어휘 학습 동기 및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서울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재학생(N = 160)을 대상으로 수용적ㆍ산출적 영어 어휘 지식을 평가하고 영어 어휘 학습 동기 및 동기의 선행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중다회귀 분석 결과, 첫째, 어휘 학습 동기는 수용적 어휘 지식과 산출적 어휘 지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지식에 대해서는 외부적 조절이 정적으로, 부과된 조절과 무동기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출적 어휘 지식에 대해서는 유일하게 내재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자율성, 지각된 유능감, 또래 영향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선행요인들로 나타났다. 지각된 자율성은 외부적 조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 고, 지각된 유능감은 내재적 동기와 확인된 조절에 정적으로, 부과된 조절과 무동기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래 영향은 외재적 동기 유형들과 무동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변량 분산 분석 결과, 지각된 자율성과 지각된 유능감이 모두 높은 집단은 자율성과 유능감이 모두 낮거나 어느 한 요인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 결정적 동기화 수준이 높고 무동기 수준이 낮았다. 또한, 지각된 자율성과 지각된 유능감이 모두 높은 집단은 두 요인이 모두 낮은 집단에 비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자기 결정적 동기를 촉진하고 산출적 어휘 지식을 확장하는 데 있어, 특히 지각된 유능감을 고양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 influence on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nts were 16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ignificantly predicts their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Both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 th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but in opposite directions. Only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s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Furthermore,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er influence prove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vocabulary. While perceived autonomy negatively influences external regulation, perceived competence positively influences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Peer influ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ree types of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showed that students with balanced high levels of perceived autonomy and perceived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in intrinsic motivation than their low-level counterparts. The former also outperformed the latter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Overall,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of enhancing Korean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ing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vocabulary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