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개발된 혼합 학습 설계를 비교 분석 및 종합하여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의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 학습 경험의 성격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표준 혼합 학습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학습 공간에 따른 혼합 학습 유형을 제시한Michael & Heather(2015)의 혼합 학습 설계와 Bath & Bourke(2010)의 혼합 학습 설계를 분석하여 혼합학습 설계 단계별로 수정 및 보완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Mager & Beach(1967)의 수업 개발 모형을 통해 수업개발의 기본적인 단계를 보완하여 반영함으로써 여러 교과 및 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이 가능한 표준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준비, 개발, 실행, 개선의 네 단계를거치며 각각의 세부 절차에 따라 전개된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 분석, 혼합 학습 상황분석, 학습목표 선정의 절차를 수행한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세부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 경험과 혼합 학습공간, 혼합 학습 전략을 선정하며 수업을 위한 혼합 학습 자료를 개발 및 디지털화 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혼합 학습 관리 시스템에 탑재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혼합 학습의 전반에 대해 안내하고 혼합 학습을 실시하며, 넷째, 개선 단계에서 이를 토대로 설계된 혼합학습을 개선한다. 또한 동 교과 및 학습 주제의 전문가에 의해 혼합 학습 설계 및 수업 자료를 평가하고 보완하여 수업을 재실시 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와 같이 개발된 학습 공간과 학습 경험의 성격에 기반을 둔 표준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은 국내 여러 교과 및다양한 혼합 학습 상황에 적용가능하며, 이 연구를 토대로 각 교과의 성격을 반영한 혼합 학습 설계 모형, 혼합학습 유형별로 구체화된 혼합 학습 설계 모형을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발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