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및 식생활역량 점수를 확인하여 식생활 현황을 진단하고, 예비 초등교사의 식생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별함으로써 향후 초등교사가 될 교육대학교 학생의 바람직한 식생활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 학교 1학년 학생 6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예비 초등교사의 식습관 점수는 65.88점(100점 기준), 식생활역량 점수는 67.97점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습관 점수는 자택에서 거주하는 학생(69.15점)이 기숙사 거주 학생(64.24점)과 자취 학생(61.00점)에 비해 높았다. 식습관 점수를 문항 별로 분석한 결과 흡연학생이 많지 않았고(4.88점), 카페인 음료를 하루 3잔 이상 마시는 학생(4.33점)이 많지 않았으나 규칙적인 3끼 식사(2.37점)와 아침식사를 꼭 먹는 학생(2.39점)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규칙적인 식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4 문항은 모두 남학생이 점수가 높았고, 자취하는 학생의 경우 아침식사 먹는 횟수와 과일 섭취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역량 점수의 경우 식품 구매 시 유통기한을 확인한다는 항목 점수가 4.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구성을 생각하는 식단 계획이 2.69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균형 잡힌 식단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보관이나 식품위생에 대한 점수는 기숙사 거주하는 학생이 가장 높았고, 자취생이 가장 낮았다. 요리 역량에 대한 점수는 자취생이 가장 높아 요리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중요하므로 예비 초등교사의 조리 실습 기회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습관 점수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식생활역량 점수를 비교한 결과 식사준비 영역을 제외한 식품선택, 영양관리, 지속가능 식생활, 자기평가 4개 영역은 상위집단일수록 식생활역량 점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예비 초등교 사의 평생 건강관리와 향후 식습관이 형성되는 초등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좋은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식생활교육이 수행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성별과 거주형태에 따라 식습관과 식생활역량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대상 학생의 개선점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식생활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67 first-grade students in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urveyed using the tools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were 65.88 and 67.97 out of 100, respectively, suggesting a need for improvement. The dietary habit score was higher for students living at home (69.15) than those living in dormitory (64.24) and self-boarding students (61.0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ietary habit scores, there were not many smokers (4.88) and few students (4.33) drinking caffeine more than three cups a day. Regular three meals (2.37) and students eating breakfast (2.39) were small, indicating that regular eating was necessa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items according to gender and mal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The number of breakfast meals and fruit intake rate were statistically lower for self-boarding students. In the case of dietary life competency score, the item score of confirming the expiration date of food purchase was the highest(4.07), and the dietary plan considering the nutritional composition was the lowest(2.69), A balanced diet education was needed. The score of food preservation and food hygiene was highest in dormitory students and lowest in self-boarding ones. It is important that the opportunity for cooking is given because the score of cooking ability is the highest among the self-boarding.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take dietary education to have good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ies.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