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범죄예방설계 사업 후에도 안전한 환경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계획단계에서 주민참여를 통한 사업실행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세대 범죄예방설계가 강조되는 현실에서 주민참여 범죄예방설계 워크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국내에서 진행된 관련 사업 및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주민참여 워크샵은‘안전지도 만들기(낮은 단계), 역할놀이 및 행태지도 만들기(중간 단계), 디자인 게임(높은 단계)’등으로 구분되며, 3가지 모두 주민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범죄예방설계 원리에 근거한 전략을 도출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반 범죄예방설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유형별 워크샵의 특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범죄 및 불안감 원인규명 및 이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대안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 참여방법과 주의사항, 특성 등을 정리한 지역기반 워크샵 매뉴얼 개발과 함께 워크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도 필요하다.In order to maintain a safe environment after a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a project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and various measures are needed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lanning p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 to find effective citizen-participated workshops and measures focused on 2nd CPT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s’ review, the workshops are categorized into safety mapping, role playing, behavior mapping, and design game. The workshop measures are fou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to derive concrete strategi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i) it is thought that citizen-participated CPTED workshops such as safety mapping, role playing, behavior mapping, and design game are necessary to activate local-based CPTED project, ii) as CPTED workshops are processed for crime prevention, they should be programmed with the aim of deriving preventive measures of crime and fear of crime, iii)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xpert training system and local-based manual for CPTED workshop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